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

호흡자극제 진해제 거담제 호흡자극제(respiratory stimulant) 호흡자극제란 마취제나 수면제 사용에 따른 호흡억제나 신생아질식(neonatal asphyxia)이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호흡중추를 직접 흥분시키는 약물과 목동맥토리(경동맥소체)의 화학수용체(chmoreceptor)를 자극해서 호흡중추를 흥분시키는 약물의 2종류가 있다. 호흡중추를 직접 흥분시키는 약물- 디모르폴라민(dimorepholamine), 독사프람(doxapram), 디메프린(dimefline) 목동맥토리의 화학수용체를 자극해서 호흡중추를 흥분시키는 약물- 로벨린(lobeline) 진해제(antitussive) 진해제란 숨뇌(연수)의 기침중추에 작용하여 기침반사를 억제하는 중추성 진해제와 기도점막에 작용하여 기침을 억제하는 말초성 진해.. 2023. 1. 19.
항고혈압제 고혈압(hypertension)은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내보낼 때의 압력을 수축기혈압(최고혈압)이라고 하고, 심장이 확장하여 혈액을 받아들일 때의 압력을 확장기혈압(최저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은 원인 질환이 분명한 이차고혈압(secondary hypertension)과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본태고혈압(essential hypertension)으로 크게 나뉘는데, 고혈압 환자의 약 90%가 본태고혈압이다. 고혈압의 분류 정상혈압- < 120 mmHg 그리고 < 80 mmHg 고혈압 전단계 - 1기 120~129 mmHg 또는 80~84 mmHg 2기 130~139 mmHg 또는 85~89 mmHg 고혈압- 1기 140.. 2023. 1. 18.
심장기능상실 치료제 심장기능상실(심부전, heart failure)이란 각종 질환으로 인해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온 몸의 조직이 필요로 하는 수요를 충족할 만큼 혈액을 보내지 못하거나 또는 심실 충만압(심실확장 말기압)이 상승해야 혈액을 내보낼 수 있는 병태생리학적 상태를 말한다. 그중에서도 각종 심장질환 때문에 심장기능이 저하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증후군을 울혈심장기능상실(울혈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이라고 한다. 심장기능상실 가운데 가장 많은 유형이며 보통 만성으로 경과한다. 울혈심장기능상실(울혈성 심부전)치료제 1. 이뇨제(diuretic), 앤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억제제), 강심제(cardiotonic agen.. 2023. 1. 17.
다낭성난소증후군에 대하여 다낭성난소증후군이란 ? 다낭성난소증후군은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의 호르몬 이상으로 난소의 남성 호르몬 분비가 증가하여 배란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월경 불순, 다모증, 비만, 불임이 발생하고, 장기적으로 대사 증후군과 연관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 질환에는 인슐린 저항성 또는 고인슐린 혈증이 동반될 수 있다. 원인 한 가지 원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원인에 의한 것이든 인슐린 저항성, 안드로젠호르몬 과다혈증, 비정상적인 호르몬의 분비 등이 발생하여 생기는 내분비 질환이다. 증상 증상에는 비정상적인 월경(월경을 하지 않거나, 몇 달씩 거르거나, 월경이 아닌 시기의 출혈 등), 고안드로젠혈증으로 인한 다모증(몸에 털이 많아지는 증상), 여드름 등이 있다. 배란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월경 불순이 발생하는 .. 2023.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