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

응급처치가 중요한 이유 어떤사람에게 필요한가? 응급처치가 중요한 이유 응급처치가 필요한 상황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만약의 응급상황에 대비해 누구나 응급처치를 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사람은 자신이 응급상황에 빠질 경우를 대비해, 또 응급상황에 빠진 다른 사람을 구하기 위해 올바른 응급처치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응급처치자가 진단하지는 않지만 (진단은 의사가), 환자의 문제가 무엇인지 짐작할 줄 알고 이에 따라 응급처치를 해야 합니다. 응급처치는 어떤 사람에게 필요한가? 심장 질환과 암이 중대한 건강 문제로 계속 대두 되고 있지만, 고의적이건 아니건 원인과 관계없이 부상은 공중보건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은 무시된 유행병이라 불러 왔다. 사망 통계가 항상 부상 문제의 심각성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부상.. 2023. 1. 10.
항파킨슨병제 파킨슨병 1)병인 신체의 여러 부분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뇌 내의 전달물질이 필요한데 도파민(dopamine)과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 중요하다. 파킨슨병에 걸리면 도파민을 만드는 뇌의 흑색질신경세포가 감소하여 도파민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는다. 파킨슨병은 피라미드바깥길계통(추체외로계, extrapyramidal system)의 일부인 중간뇌(중뇌, midbrain)와 흑색질(흑질, substantia nigra)의 변성 질환으로, 운동의 협조성이 장애를 받아 유지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한다. 중간뇌와 흑색질에서 대뇌바닥핵(대뇌기저핵)의 줄무늬체(선조체)로 투사되는 도파민 작용계통의 기능저하와 줄무늬체 콜린 작용계통의 이차적인 기능항진이 나타난다. 그 결과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거나 떨리는 등 .. 2022. 10. 10.
수면제 수면은 생리적인 현상으로 '각성 수준의 일시적 저하'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병적인 의식혼탁과 달리 가역적이다. 또한, 수면은 우리 몸의 활력을 충전하는 중요한 생리적 기전으로 정상적인 수면에 장애가 생기면 일상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수면은 렘수면(급속눈운동수면, rapid eye movement sleep, REM sleep)과 논렘수면(비급속눈운동수면, non-rapid eye movement sleep, non REM sleep)의 2종류로 나뉘는데, 렘수면에서는 빠른 눈운동, 혈압, 심박수 및 호흡의 변동, 근육긴장 저하, 몸 움직임의 증가가 관찰된다. 또 각성하기 어렵고 이시기에 꿈을 꾼다. 논렘수면은 눈 운동이 없고, 심박수 및 호흡이 안정되며 몸 움직임도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2022. 10. 10.
전신마취제 전신마취제(general anesthetic)란 가역적으로 중추신경계통을 마비시킴으로써 의식과 감각을 소실시키는 약물을 말한다. 전신마취제의 발견은 1840년대의 에테르(ether), 아산화질소(nitrous oxide)의 발견에서부터 비롯되어 의학계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전신마취의 단계 전신마취제는 억제작용이 상위의 대뇌새겉질(신피질)에서 하위로 진행하는 도중에 숨뇌(연수)와 척수이 순서가 역전되어 마지막으로 숨뇌가 억제되도록 작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1)제 1기(마취유도기) 의식이나 감각의 소실이 일어나 통각이 현저하게 감소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작은 수술을 할 수 있다. 2)제 2기(흥분기) 마취제가 신경을 흥분시키는 것이 아니라 중추신경이 상위에서 하위로 단계적으로 억제되는 과정에서 .. 2022. 10. 9.